패키지기획에 도움이 될 박스에 대한 기본적인 구조와 종류, 가공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전부를 이해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전문가와의 협업을 통해 가장 이상적인 박스를 제작 할 수 있습니다.
박스의 구조
박스는 여러가지 지기구조로 이루어집니다. 아래에 설명된 구조가 대표적이며 여러가지로 변형될수도, 서로 중복될수도, 단순화 될수도 있습니다. 박스에 담겨지는 제품에 따라 적합한 지기구조를 위해서는 전문가와의 소통이 필요합니다.
B형 박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박스구조로 하단부가 맞뚜껑, 십자조립, 삼면등의 구조로 이루어집니다.
S형 박스.
인박스와 슬리브가 합쳐진 구조로 인박스는 일반적으로 조립형 구조를 많이 사용합니다.
G형 박스.
상단과 하단이 합쳐진 구조로 상단박스를 닫으며 하단박스에 끼워지는 형태를 많이 사용합니다.
Y형 박스.
상단과 하단이 분리된 박스구조로 각각 조립하여 하나로 합쳐지는 구조로 만들어집니다.
H형/M형 박스.
상단에 끈을 달거나 홈을 파서 손잡이를 만들어 직접 들수 있도록 제작하는 구조로 만들어집니다.
2단 하드케이스(2단 싸바리).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단단한 하드케이스로 상짝과 하짝으로 이루어집니다.
3단 하드케이스(3단 싸바리).
같은 사이즈의 상하짝 사이에 중간박스를 넣어 상하의 연결고리 역할을 하도록 만들어집니다.
표지형 하드케이스(표지바리).
본박스에 딱딱한 표지를 둘러싸 완성되는 하드케이스로 표지와 본박스는 자석 또는 리본을 묶어 결합되는 방식입니다.
종이의 종류
박스를 제작할 수 있는 종이는 일반적으로 판지라고 부르며 그 중 많이 사용되는 대표적인 종류를 아래에서 설명합니다. 다만 같은 종류의 종이라 해도 제지사, 또는 수입사에 따라 종이의 특성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박스의 구조 및 디자인, 사용용도등에 맞게 선택되어야 완성도있는 박스를 제작할 수 있습니다.
CCP.
인쇄면에 특수코팅처리가 되어 있는 종이로 색재현력이 좋으며 평활도가 뛰어납니다.
로열아이보리.
인쇄에 적합하도록 가공된 종이로 내구성이 우수하며 제지사에 따라 뒷면이 미색 또는 흰색을 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