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스 제작가이드.

패키지기획에 도움이 될 박스에 대한 기본적인 구조와 종류, 가공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전부를 이해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전문가와의 협업을 통해 가장 이상적인 박스를 제작 할 수 있습니다.

박스의 구조

박스는 여러가지 지기구조로 이루어집니다. 아래에 설명된 구조가 대표적이며 여러가지로 변형될수도, 서로 중복될수도, 단순화 될수도 있습니다.  박스에 담겨지는 제품에 따라 적합한 지기구조를 위해서는 전문가와의 소통이 필요합니다.


B형 박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박스구조로 하단부가 맞뚜껑, 십자조립, 삼면등의 구조로 이루어집니다.

S형 박스.

인박스와 슬리브가 합쳐진 구조로 인박스는 일반적으로 조립형 구조를 많이 사용합니다.

G형 박스.

상단과 하단이 합쳐진 구조로 상단박스를 닫으며 하단박스에 끼워지는 형태를 많이 사용합니다.

Y형 박스.

상단과 하단이 분리된 박스구조로 각각 조립하여 하나로 합쳐지는 구조로 만들어집니다.

H형/M형 박스.

상단에 끈을 달거나 홈을 파서 손잡이를 만들어 직접 들수 있도록 제작하는 구조로 만들어집니다.

2단 하드케이스(2단 싸바리).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단단한 하드케이스로 상짝과 하짝으로 이루어집니다.

3단 하드케이스(3단 싸바리).

같은 사이즈의 상하짝 사이에 중간박스를 넣어 상하의 연결고리 역할을 하도록 만들어집니다.

표지형 하드케이스(표지바리).

본박스에 딱딱한 표지를 둘러싸 완성되는 하드케이스로 표지와 본박스는 자석 또는 리본을 묶어 결합되는 방식입니다.

종이의 종류

박스를 제작할 수 있는 종이는 일반적으로 판지라고 부르며 그 중 많이 사용되는 대표적인 종류를 아래에서 설명합니다. 다만 같은 종류의 종이라 해도 제지사, 또는 수입사에 따라 종이의 특성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박스의 구조 및 디자인, 사용용도등에 맞게 선택되어야 완성도있는 박스를 제작할 수 있습니다. 


CCP.

인쇄면에 특수코팅처리가 되어 있는 종이로 색재현력이 좋으며 평활도가 뛰어납니다.

로열아이보리.

인쇄에 적합하도록 가공된 종이로 내구성이 우수하며 제지사에 따라 뒷면이 미색 또는 흰색을 띕니다.

아이보리.

양면이 백색으로 가공되어 인쇄가 가능하나 고급지에 비해서는 인쇄시 색감이 탁하지만 가성비가 우수한 종이입니다.

SC마닐라.

백색 인쇄면이외에는 재생펄프로 탁한 연회색이며 강도가 다소 약하며 골판지 합지용 또는 저렴한 박스제작시에 사용됩니다. 

크라프트.

크라프트지는 재생용지를 가공하여 생산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나 점차 디자인페이퍼의 한 영역으로서 다양한 개발로 여러가지 종류로 생산되고 있습니다.

메탈페이퍼.

PET 또는 AL을 판지에 증착시킨 종이로서 화려한 박스제작시 많이 사용되며 은지, 금지, 홀로그램지등이 있습니다.

기타.

더 많은 종류의 종이는 각 제지수입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쇄 및 후가공

박스를 제작하기 위해서 종이에 인쇄 및 후가공이 필요하며 선택된 종이에 적합한 인쇄방식과 후가공을 선택해야만 퀄리티 높은 박스를  제작할 수 있습니다.


UV 오프셋 인쇄.

UV 오프셋 인쇄는 인쇄후 바로 건조되는 특징때문에 일반적으로 잉크가 흡수되지 않는 특수지에 진행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나 최근에는 색표현력이 좋은 장점으로 일반지에도 많이 진행되어집니다.

일반 오프셋 인쇄.

인쇄속도가 빠르고 색표현이 안정적인 장점으로 대량인쇄에 적합한 인쇄방식입니다. 인쇄후 건조시간이 필요하며 인쇄지끼리 뒷묻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크인쇄.

색이 짙은 종이나 크라프트지에 실크스크린 방식으로 진행되는 인쇄입니다. 

디지털인쇄.

기술의 발달로 제판이 필요없고 토너로 인쇄되는 디지털인쇄가 많이 보급되고 있지만 대량생산시 비싼 단가와 별색인쇄의 한계점등이 있어 샘플 제작에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코팅.

박스의 표면에 필름을 입혀 박스파손을 일정부분 보완해 줍니다. 일반적으로 유,무광 코팅을 진행하며 필요에 따라 벨벳코팅과 같은 특수코팅의 종류도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부분코팅.

무광코팅 또는 비코팅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유광코팅의 느낌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며 UV, 실크등의 종류가 있습니다.

박.

동판을 제작해 포일지를 기계로 뜨거운 열을 가하여 찍어내는 방식의 후가공입니다. 일반적으로 금박, 은박, 먹박, 홀로그램박등 다양한 종류가 있어 박스에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기위해 사용됩니다.

형압.

수지판을 제작하여 위아래로 누르는 방식으로 표면에 볼륨감을 주기위해 사용됩니다. 양각(엠보싱)과 음각(디보싱)이 있습니다.

톰슨.

인쇄 및 후가공 되어진 평면종이를 박스모양으로 만들기 위해목형칼을 제작하여 톰슨기로 눌러 따내는 방식으로 작업됩니다.

접착.

접착제를 사용하여 박스모양으로 접으며 접착하는 가공으로 여러가지 모양의 박스를 만들수 있습니다. 기계로 가공할 수 없는 까다로운 구조는 손으로 수접착을 합니다.

추가 구성품 제작

패키지를 구성하기 위하여 박스이외에도 추가적으로 구성할 부자재가 필요할때가 있습니다. 우리는 이러한 추가 구성품을 같이 제작하여 납품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었습니다.


라벨.

박스안에 포함되는 용기라벨 또는 박스의 개봉금지 라벨등을 제작하여 박스와 같이 납품됩니다. 

설명서.

화장품, 제약등의 박스에는 안에 필요한 설명서도 같이 제작이 가능합니다.

완충골판지.

유리용기 또는 충격에 민감한 재질을 패키징 할 경우 필요한 완충골판지를 박스사이즈에 맞춰 동시에 제작합니다.

게또바시/스펀지.

하드케이스를 제작할때 여러개의 구성품으로 이루어 질 경우 각 제품들을 고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게또바시, 스펀지를 박스와 같이 의뢰할 수 있습니다. 

리플렛/카다로그.

제품출시와 동시에 필요한 홍보물을 같이 제작의뢰 가능합니다.

쇼핑백.

제품패키지와 꼭 맞춘 동일한 아이덴디티로 제작되는 쇼핑백을 같이 의뢰할수 있습니다.

COMPANY


팩토리엠 

사업자등록번호 : 124-47-97790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 235 남산센트럴자이 A동 209호

CONTACT


TEL : 02-2263-9275   FAX : 02-6280-9375  

E-MAIL : make@factorym.co.kr

업무시간 :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점심 12시-1시)

토,일요일 / 공휴일 휴무

전화상담을 원하시면 아래에 연락처를 남겨주세요.

작성